눅 23:1-25, 그들의 소리가 이긴지라 | 신동식 | 2025-04-17 | |||
|
|||||
눅 23:1-25, 그들의 소리가 이긴지라
예수님은 제사장의 집에서 이제 사법의 장소인 빌라도에겔 이동합니다. 대제사장들은 예수님의 행위가 신성모독을 넘어 반역죄에 해당된다고 여겼습니다. 예수님께서 자신을 왕이라고 하였기 때문입니다.
빌라도는 예수님께 유대인의 왕인지를 묻습니다. 예수님은 빌라도의 질문에 네 말이 옳다고 답을 합니다.
빌라도는 예수님을 심문 한 결과로 죄가 없음을 확인하였습니다. 그러자 유대인들이 소리 질러서 빌라도를 압박합니다. 빌라도는 죄 없는 예수님에게 죄를 물을 수 없었습니다. 그러자 예수님에게 갈릴리 출신인지를 묻고 갈릴리를 담당하고 있는 헤롯에게 보냅니다.
마침 예루살렘에 있던 헤롯은 예수님을 보고 싶었기에 기쁘게 심문합니다. 그러나 헤롯의 본심은 예수님의 죄가 아니라 소문에 따른 이적을 보고 싶었습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헤롯의 요구에 침묵하셨고 헤롯은 예수님을 희롱하고 업신여기고 빛난 옷을 입혀서 빌라도에게 보냅니다.
헤롯과 빌라도는 같은 판단을 내렸습니다. 빌라도는 대제사장들과 관리들과 백성들을 부르고 예수님의 심문결과 죄가 없음을 선언합니다. 그리고 헤롯도 자신과 같은 생각이라고 말합니다. 그래서 때려서 풀어주겠다고 선언합니다.
그러자 모였던 유대인들이 소동을 일으킵니다. 예수님을 사형시키고 바라바를 놓아달라는 요청입니다. 당시의 풍습 가운데 명절에 한 사람을 풀어주는 일이 있었습니다. 이때 바라바를 풀어주고 예수님을 사형시켜 달라는 소리였습니다.
바라바는 민란을 일으킨 자이며 살인자인 중법죄자였습니다. 그런데 사람들은 예수님을 대신하여 바라바를 요구하였습니다. 여기에 빌라도가 굴복합니다. 빌라도는 예수님의 죄를 찾지 못하였다고 하였지만 유대인들의 소리가 빌라도를 이겼습니다. 결국 예수은 사법이 아닌 여론과 모함과 정치적으로 죽임을 당하였습니다. 하나님의 섭리대로 십자가를 지셔야 했지만 십자가를 지게 한 자들의 죄는 빌라도와 당대의 무리들이 받아야 합니다.
타락한 본성은 예수님을 왕으로 받아들이기를 거부합니다. 예수님의 통치에 순종하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양심이 부패하여 자신의 소견에 옳은대로 법을 해석하였습니다.
대제사장들은 자신들의 기득권을 유지하고자 진리에 눈을 감았습니다. 빌라도는 일반은총의 은혜로 거짓을 분별할 수 있었지만 권력에 눈을 멀어서 불의한 소리에 눈을 감았습니다.
사람들의 소리가 법을 이기면 무법천지가 되어서 사람들이 죽는 일이 일어납니다. 법이 왕이라는 의식이 성경의 가르침입니다. 우리는 말씀의 법 아래 살고 있습니다. 사람들의 소리가 아니라 말씀의 법을 따라야 합니다.
거듭난 그리스도인은 그리스도를 왕으로 모시며 살아갑니다. 그분의 제사장직과 선지자직을 순종합니다. 그리고 온전히 그리스도의 통치를 받아들입니다. 예수님은 말씀으로 통치하십니다. 그리스도인은 이 통치에 순종합니다.
오늘도 사람의 소리가 아니라 말씀의 소리에 순종하기를 기도합니다.사람의 소리를 말씀의 소리로 분별할 수 있기를 기도합니다. 민심은 너무 중요하지만 반드시 천심인 것은 아닙니다. 하나님의 말씀이 민심이 되어야 합니다. 부패한 본성의 시대는 이러한 혼돈이 있습니다. 그래서 성경의 법이 정직하게 증거되어야 합니다. 주님 다시 오실때까지 이 혼돈의 시대를 살아야 합니다. 그래서 더욱더 깨어 하나님의 뜻을 분별할 수 있기를 기도합니다. |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