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의 책임 | 신동식 | 2022-05-07 | |||
|
|||||
부모의 책임 부모는 자녀와의 관계에서 주어진 호칭입니다. 자녀가 있다는 것은 부모의 위치에 이르렀다는 의미입니다. 하나님은 부부를 통하여 자녀를 낳게 합니다. 그리고 부모의 자리로 인도합니다. 그래서 부모가 된다는 것은 귀한 일입니다. 부모가 되었다는 사실은 하나님 앞에 책임있는 존재가 되었음을 의미합니다. 자녀는 하나님이 주신 선물입니다. 하나님은 선물을 주실 때 아무 의미없이 주지 않습니다. 자녀를 통하여 그의 나라를 이루어가실 목적으로 주십니다. 하나님의 창조경륜을 이루시기 위하여 자녀를 주십니다. 부모가 되었다는 것은 이렇게 막중한 책임을 받았음을 의미합니다. 부모는 하나님 나라의 청지기입니다. 자녀를 주신 하나님의 뜻을 잘 받들어서 양육해야 합니다. 그래서 하나님 나라를 확장하고, 마침내 그의 나라를 완성하는 일에 앞장서게 해야 합니다. 단지 이 땅에서 부자 되게 하는 것이 목적이 아닙니다. 하나님 나라를 완성하는 일을 위하여 자녀를 선물로 주셨습니다. 이 소명은 부모와 자녀가 함께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부모는 자녀가 하나님께로 부터 오면 이 사실을 알려주어야 합니다. 사람의 제일 되는 목적을 어려서부터 함께해야 합니다. 함께하지 않으면 부모의 책임을 감당하지 않음이 됩니다. 이 목적을 위하여 부모는 최선을 다하여 책무를 감당해야 합니다. 부모가 책임을 감당하지 않으면 자녀는 사람의 제일 되는 목적을 알지 못하게 되고, 세속의 목적을 위하여 살게 됩니다. 부모가 책임을 지지 않았음은 청소년기에 일차적으로 나타납니다. 신앙의 저항이 일어납니다. 청소년들의 영적 저항은 예배의 불성실과 이중적 신앙생활로 나타납니다. 교회는 가기 싫은데 부모님 때문에 억지로 갑니다. 그리고 예배 후에 더 세속적인 아이들로 돌아갑니다. 이들의 특징은 부모들의 이중적 신앙생활에서 주어졌다고 할 수 있습니다. 성경적 세계관이 없는 신앙을 아이들이 볼 때 나타납니다. 아이들은 속으로 부모들의 신앙을 의심합니다. 부모들의 신앙이 샤머니즘과 다를 바 없다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의심이 저항의 원인입니다. 이들 가정들은 상당수가 가정 예배를 드리지 않습니다. 혹 드려도 강압적인 경우입니다. 아이가 태어나기 전부터 부부의 가정 예배가 시작되고 태어나면서부터 자연스럽게 가정예배의 일언이 되게해야 합니다. 삶의 목적이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는 것임을 알려줄 때 건강한 신앙인으로 자랍니다. 하나님의 인도하심에 맡기는 자녀교육이 있을 때 아이는 믿음의 자리를 떠나지 않습니다. 자녀들의 이차적 저항은 청년기에 분출됩니다. 힘도 있고, 돈을 벌 수 있는 능력이 생길 때 신앙의 저항은 구체적이고, 강렬하게 나타납니다. 이에 예배의 자리에 아예 나타나지 않습니다. 청년들의 저항에서 볼 수 있는 사실은 부모를 향한 분노입니다. 주일에는 교회에 나가지만 자신들이 본 부모는 세속적인 사람과 다르지 않습니다. 오직 물질적 성공에 매달립니다. 가난하고 힘들었던 부모일수록 더욱 심하게 나타납니다. 부모들의 신앙은 철저한 기복주의 샤머니즘임을 확실하게 받아들입니다. 돈만 있으면 부모는 신앙에 대하여 열린 마음을 가질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 중심을 알게 된 자녀들은 하루 빨리 독립하여 자유를 누리고자 합니다. 이 자유는 교회에서의 자유도 포함됩니다. 자녀들의 저항은 부모의 책임입니다. 그래서 부모는 저항에 자리에 이르지 않는 자녀로 키우는 것이 무엇보다 좋습니다. 순결한 신앙인으로 양육하는 것만큼 복된 것이 없습니다. 그러기 위해서 부모들의 책임은 너무나 중요합니다. 부모는 자신이 분명한 회심과 성경적 세계관으로 무장되어야 합니다. 그것이 자녀들을 양육하는 시작입니다. 또한 타락한 세상에서 저항하는 자녀들을 보는 것은 자연스럽습니다. 어린 시절에 최선을 다했어도 타락한 세상이주는 유혹으로 얼마든지 자녀들이 신앙의 자리에서 탈선할 수 있습니다. 이때 부모들의 책임이 더 중요합니다. 저항하는 자녀들을 위하여 부모가 가지고 있어야 할 자세는 그리스도와 같이 인내하고 사랑을 유지하는 일입니다. 그리도 정직한 질문을 던지고 답을 찾는 일입니다. 그래서 자녀로 하여금 사람의 제일 되는 목적을 회복시켜주어야 합니다. 부모는 이 책무를 감당할 때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는 삶을 살게 됩니다. 부모는 책임이 있는 존재임을 항상 기억합시다. 샬롬
|
댓글 0